이집트의 생성
이집트는 나일강 하류와 수에즈 운하 일대에서 번성한 문명입니다
최전성기인 기원전 15세기 나일강 삼각주에서 게벨 바르카까지 세력이 커졌으며
에티오피아와 교류하기도 하였습니다
기원전 3200년부터 기원전 332년까지 3천 년 동안 존재해 왔으며 알렉산드로 대왕의
점령으로 인하여 그 긴 막이 내리게 되었습니다 이집트는 수로를 바탕으로 만든 제국으로써
관개 산업에 의존하였던 문명입니다
이집트의 지리
이집트 대부분의 영토는 북아프리카에 위치해 있습니다
정확한 위치는 지중해와 홍해에 해안선이 있고 서쪽으로는 리비아 , 남쪽으로는 수단
동쪽으로는 가자 지방과 이스라엘이 있습니다
이집트의 인구는 대부분 나일강을 끼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헤로도토스는 이집트를 '나일강의 선물'이라는 말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집트 기후 환경
이집트는 크게 두 가지의 기후환경으로 나뉩니다
대부분의 지역은 사막기후(arid climate)이며 , 나일강 델타와 북부 지역에서는 지중해 기후 (Mediterranean climat)로
나타납니다
1. 사막기후
이집트의 대부분 지역은 사하라 사막입니다 기온이 낮고 강수량이 적습니다
일간 기온변화가 크며, 낮에는 매우 덥고 밤에는 상대적으로 시원합니다
사막지역의 평균 기온은 여름은 40도 를 넘길 수 있으므로 매우 덥습니다 겨울기간에는 반대로 20도로 떨어지기
때문에 기온의 평균차가 심하게 나타납니다 강수량은 연간 거의 없거나 25mm 이하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지중해 기후
북부 해안과 나일강 델타지역의 경우 지중해 기후가 나타납니다
이 지역의 경우 토지 면적에 비해 인구 밀도가 높으며 고대 이집트 문명도 여기서 발전하였습니다
지중해 기후 지역에서는 겨울에 비가 내리며 여름에는 건조한 날씨입니다
일 평균 기온은 여름기간 30도(±5)로 온화한 편이며 , 겨울 기온은 15도(±5)로 내려갑니다
이집트는 사막과 지중해의 특성을 다 갖추고 있기에 다른 여러 나라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집트 신화
이집트 신화는 다양한 신들에 대한 이야기들과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시기에 걸쳐 발전하였습니다
1. 창조신화
이집트 사회는 기원전 31세기부터 30년까지 이어진 해당 주기와 고대 이집트 시대로 구분됩니다
하나의 신화는 아담이라는 신이 물에서 태어나 세상을 창조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2. 오시리와 이시스
오시리스는 사후세계의 신으로서 농경과 번영의 상징이었습니다 그의 아내 이시스는 마법과
치유를 다루는 여신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시리스의 동생 제트는 배신과 죽음의 신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오시리스의 동생 제트에 의해 오시리스는 살해되고 몸이 여러 조각으로 나뉘지만
이시스에 의해 몸조각을 다시 찾은 후 그의 아들 호루스와 함께 제트에게 복수합니다
3. 호루스와 제트와 싸움
호루스와 제는 이집트 왕위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나 결국 호루스가 승리함으로써 호루스는 왕좌에
오르게 되고 이기적이고 파괴적인 힘을 나타내는 제트는 멀리 도망갑니다
4. 라 와 아피프
라는 태양의 신이고 아페 피는 저주와 파괴를 상징하는 거대한 뱀으로 나타납니다
매일 밤 라와 아페 피는 상호 간에 승부를 겨루며, 이 과정에서 해가 지고 밤이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미술과 건축
1. 피라미드
피라미드는 정사각뿔 형의 고대 유적을 나타냅니다
피라미드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로 피라미스이나 이집트 인은 메르라라고 불렀습니다
피라미드는 많은 문명권에서 나타났으나 (고대 중국,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중앙아메리카 등)
제일 알려지고 유명한 피라미드는 대피라미드, 카프레의 피라미드, 맨카우레의 피라미드가
이에 속합니다
한 때 이집트의 피라미드가 무덤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하였으나 국왕, 왕비 등 왕족의 무덤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그 이유는 왕의 피라미드에서 미라가 여럿 발굴이 되었고 방에서 매장에 필요한 석관, 항아리. 황금
등이 출토되었고 제사에 쓰였던 부조나 비문등도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피라미드에 남아 있는 최고의 기록은 고대 그리스 역사가인 헤로도토스의 역사에서 볼 수 있는데
대 피라미드에 관하여 10만 명이 3개월 교대로 20년에 걸쳐 건축했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2.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고대 이집트의 상징적인 조각상입니다
사자의 몸통에 인간의 머리를 가진 신비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가장 유명한 스핑크스 조각상은
피라미드 광장에 위치한 대스핑크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스핑크스는 전체 길이가 73미터
높이가 20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크기입니다 대 스핑크스는 케프렌 왕의 얼굴을 하고 있다고
전해지며 대략 약 4.500년 전, 기원전 2,500년경에 건설되었다고 추정합니다
스핑크스의 용도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왕의 힘과 권위를 상징하거나
왕의 영혼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고대 이집트의 노예
고대 이집트에서 노예는 노동력의 일부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농업, 광산, 집안일, 군대,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을 하였고 노예가 되었던 조건은 전쟁포로,
채무 다른 나라에서 노예로 팔려왔을 때로 정해집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노예라고 했을 때 피라미드는 노예를 통해서 지었다는 말이 많은데
최근 연구결과는 노예가 아닌 직접 고용된 이집트 노동자라는 설이 유력합니다
일반 노동자들과 같이 정기적으로 휴식을
하고 노동 대가로 먹거리와 숙박을 제공받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노동자라고 해서 일반 시민과 예우가 비슷하다고는 할 수 없었습니다
많은 농부들은 귀족들에게 핍박과 억압을 받고 생활하였고 생활 자체도 가혹하였습니다
현재의 일반인들이 말하는 회사의 노동자가 아니라
노예보다는 생활이 좋은 기술력 좋은 노동자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었습니다 결론으로 말하자면
이집트에는 노예제도가 존재하였지만 피라미드 건축물 같은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에서는
노예 대신 기술력 좋은 노동자들이 고용되었습니다
이집트 문명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다음은 다른 문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