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리아 문명에 대해서

by 스마트 정보세상 2023. 9. 11.
반응형

도리아 문명 

도리아인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되었던 여러 이민 집단 중 하나를 가리키며  세 이민주요 집단인 

아이올리아인, 이오니아인, 도리아인 중에 하나로 말할 수 있습니다 

핀도스 산맥(위키피디아)

도리아 문명의 역사 

1. 도리아인의 이동

도리아 인은 약 1100년 BC경에 발생한 그리스의 어두운 시대로 알려집니다 그들은 남부 및 서부그리스로 대규모 

이동을 시작하였으며 미케네 문명 붕괴 후 생겨났습니다 

2. 정착과 도시국가 형성

도리아인들은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서 정착을 하였는데 펠로폰네소스 반도, 크레타 섬 또한 식민지의 시칠리아와 

같은 지역이 있습니다 그들은 군사적으로 조직된 도시국가를 세우는데 중심이 되었으며 스파르타가 가장 연관이 

깊습니다 

3. 중세 기간 

고대 중세 기간(약 500년 BC~300년 BC) 중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하고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와 격돌하여 

많은 승리를 하는 등 막강한 군사력을 보여줍니다 

4. 쇠퇴기

하지만 스파르타는 결국 식민지 전쟁이 후 본래의 막강하였던 위세를 잃어버리게 됩니다 

5. 멸망 

BC 2세기에 로마제국의 일부로 흡수되게 되면서 도리아아인의 독립성이 사라지게 됩니다 

도리아 문명의 군사

도리아인들은 그들의 군사적 전통으로 유명한데 스파르타가 그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스파르 파는 고대 그리스

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도시국가 중 하나였습니다 스파르타의 군사 시스템은 매우 엄격하고 체계적이었는데 

모든 스파르타 남성은 7세에 국가교육 시스템인 Agoge를 진행하여 강인함과 체계를 배우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훈련은 20세까지 지속되며 훈련이 끝나면 전사로서의 의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이런 철저한 군사훈련 덕분에 스파르타 병사들은 고대기에서 가장 두려운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들은 엘리트

중병(호피라이트)으로 구성한 군사집단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폭넓은 방패와 장창으로 무장하였습니다 

전쟁에서 팔랑크스라는 밀집된 보병진형을 사용하였고 서로 붙으면서 방패로 자신을 보호하고 장창으로 적을 

공격하는 등으로 하여 전쟁에서의 사상자를 줄였습니다 

도리아 문명의 건축

도리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에서 유명한 도리아 양식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스타일은 강직하며 단순함을 강조하였으며

고대 그리스 건축에서 중요한 요소로 여겨집니다 

1. 단순하고 견고한 디자인 

도리아 양식은 기둥들은 무장식에 굵고 단단합니다 이는 도리아인들의 간단하면서 강인한 주체를 반영합니다 

2. 플루트 

도리아 양식기둥에는 수직으로 뚫린 홈 플루트가 있습니다 이 플루트는 보통 20개로 구성되어 있으면 입체감과 

리듬감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3. 역동적인 균형감

도리아식 기둥 꼭대기에는 아브아쿠스와 에키노스(echinos)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러한 구조는 조화와 균형을 담당합니다 

4. 메타파이 

기둥 사이와 사이의 간극이 일정하여 질서감과 안정감을 보여줍니다 

도리아 문명의 종교

도리아인들은 고대 그리스의 신화를 모방하였습니다 많은 신들과 반식 영웅을 숭배하였습니다 이러한 존재들은 

모든 자연적 현상과 윤리적 가치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도리아인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스파르타의 경우에는 

아레스(전쟁의 신) , 아테나(지혜와 전략의 여신), 아폴론(예술과 예언의 신)을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스파르타는 사회에서 군사적인 강함과 용맹함이 표현되었기 때문에 대표적인 아레스 신을 중심으로 한 종교 행사를

개최하였으며 동시에 지혜와 전략을 대표하는 아테나 여신도 중요하게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도리아인들은

종교의식을 통한 관계를 통하여 사회적 질서를 유지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는데 다양한 축제와 경기를 통한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면서 사회구성원 간의 연대감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도리아 문명의 사회구조

도리아 문명 즉, 대표적인 스파르타 구조는 명확하게 계급화되어 있었습니다 이 부분에서는 세 부분으로 볼 수 있습니다

1.Spartiates 

이들은 전체 시민권을 가진 자를 뜻하며 동등한 사람들이라는 뜻으로 Homoioi라는 이름으로 알려집니다 

Spartiates는 군사훈련을 중점으로 하여 생활을 하였으며 그들만이 정치적인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2.Perioikoi

이 계층은 스파르타 주변지역에서 생활하였으며 일부 자유를 가지고 있으나 전체적인 시민권은 없었습니다 

Perioikoi는 상인이나 장인으로서 경제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전쟁 시에는 군대에 복무하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3.Helots

Helots는 노예상태의 농부를 뜻하며 Spartiates나 Perioikoi 토지에서 일하며 생계를 해결하였습니다 

Helots는 스파르타인들보다 수가 월등하게 많았으며 그들의 노동력은 스파르타의 사회와 경제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스파르타에서 남성 Spartiates가 아닐 경우에는 여성이나 어린이 등 다른 인구집단도 있었습니다 

3-1 여성 Spartiates

스파르타 여성은 고대 그리스에서 다른 국가보다 보다 많은 자유와 권리를 누렸습니다 그들은 재화를 팔거나 

가질 수 있는 법적 권리를 가지고 있었고 건강한 생활방식을 유지하였습니다 

3-2 어린이와 청소년

남자아이들은 7세부터 공적 교육 기관인 Agoge에 참여하였습니다 이 교육은 물리적, 사회적, 도덕적인 훈련을

포함하였으며 군사 체계를 강화하고 준비하는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도리아 문명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다음에는 다른 문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